본문 바로가기

2009/10

(17)
이주노동자 '미누'의 구속이 나와 무슨 상관일까 한 사람의 이주노동자가 잡혀간다는 것이 나에게 무슨 의미일까. 수다체로 “대체 나랑 무슨 상관일까.” 13일 오전에 세미나 하러 연구실에 갔다가 정수샘에게 미누씨가 잡혀갔다는 얘길 들었다. 연구실과 한 공간을 쓰는 이주노동자방송국 MWTV에서 일하는 분이고 17년간 문화활동가로 열심히 일한 친구인데 어제 출근길에 연구실 앞에서 강제연행 됐다는 것이다. 나중에 사진을 보니까 낯은 익은 분이었다. 안타까웠다. 하지만 사실 요즘이야 천인공노에 어이상실할 사건사고가 하루걸러 터지는 지라 솔직히 말하자면 “나쁜 놈들이 참 가지가지 한다. 미누씨 불쌍하다.”는 탄식이 나오는 정도였다. 정수샘이 글 한번 써보라고 말하는데 마음이 동하지를 않았다. 만약 정수샘이 잡혀가면 성명서 한바닥 절로 나오겠지만 난 그에 대해 아..
사랑은 / 채호기 '사랑은 그렇게 왔다' 1 사랑은 그렇게 왔다. 얼음 녹는 개울의 바위틈으로 어린 물고기가 재빠르게 파고들 듯이 사랑은 그렇게 왔다. 알 수 없는 차가움이 눈을 투명하게 한다. 사랑은 그렇게 왔다. 발가벗은 햇빛이 발가벗은 물에 달라붙듯이 사랑은 그렇게 왔다. 수양버드나무의 그늘이 차양처럼 물을 어둡게 한다. 사랑은 그렇게 왔다. 할 말 없는 수초가 말 잃은 채 뒤엉키듯이 사랑은 그렇게 왔다. 가라앉아도 가라앉아도 사랑은 바닥이 없다. 2 사랑은 그렇게 갔다. 미처 못다 읽은 책장을 넘겨버리듯이 사랑은 그렇게 갔다. 말하려고 입 벌리면 더러운 못물이 목구멍을 틀어막았다. 사랑은 그렇게 갔다. 날아가며 남겨둔 여린 가지가 자지러지며 출렁이듯이 사랑은 그렇게 갔다. 손이 닿지 않는 곳에서만 꽃들은 예쁘게 피어났다. 사랑은 그렇게 ..
<날아라 펭귄> 집집마다 가족사진 왜일까 동네 엄마들이랑 만나면 재밌다. 웃다가 배꼽 빠진다. 애들 키우는 얘기, 남편 얘기, 시댁 얘기 등 일상적 사건이 생생한 입말로 생중계 되면 “맞아 맞아” 공감하다가 한바탕씩 웃음이 터진다. 우리끼리 말한다. “그 집에 안테나 끼우고 바로 방송국에 송출하면 시트콤 혹은 카메라 고발”이라고. 또 수다가 물이 오르면 자기도 ‘애 잡으면서’ 짐짓 그러지 말라고 서로 충고도 한다. 나부터도 남을 통해 자신의 모습이 객관화되니 겸연쩍어 그러는 것이다. 임순례 감독의 은 이런 우리네 일상을 소재로한 영화다. 2학년 아들 잠 안 재우고 3학년 수학 문제집 풀리는 엄마, 채식주의자 왕따 시키는 직장인, 퇴근시간마다 친구 섭외하는 처량 맞은 기러기 아빠, 손 하나 까딱 안 하는 정년퇴임 남성의 황혼이혼 소동 등 4개의 ..
흰 바람벽이 있어 / 백석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살어가도록' 오늘 저녁 이 좁다란 방의 흰 바람벽에 어쩐지 쓸쓸한 것만이 오고 간다 이 흰 바람벽에 희미한 십오촉 전등이 지치운 불빛을 내어던지고 때글은 다 낡은 무명샷쯔가 어두운 그림자를 쉬이고 그리고 또 달디단 따끈한 감주나 한잔 먹고 싶다고 생각 하는 내 가지가지 외로운 생각이 헤매인다 그런데 이것은 또 어인 일인가 이 흰 바람벽에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있다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이렇게 시퍼러둥둥하니 추운 날인데 차디찬 물에 손은 담 그고 무이며 배추를 씻고 있다 또 내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 내 사랑하는 어여쁜 사람이 어느 먼 앞대 조용한 개포가의 나지막한 집에서 그의 지아비와 마주 앉어 대구국을 끓여놓고 저녁을 먹 는다 벌써 어린 것도 생겨서 옆에 끼고 저녁을 먹는다 그런데 또 이즈막하야 어느 사이엔가..
동정-연민에 대하여 고등학교 1학년 때 잠실에 살았는데 무악재로 학교를 다녔다. 학교가 거의 산꼭대기라 교실까지 가려면 한 시간 반이 걸렸다. 새벽6시 전에 집을 나섰다. 겨울이면 캄캄하고 바람이 매서웠다. 집에서 지하철역까지 가는 길에 나와 청소부 아저씨뿐이었다. 슥슥슥 비질 소리가 유독 크게 들렸다. 매일 아저씨를 보면서 이렇게 추운데 고생하시고 참 부지런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다가 어느 날부턴가 청소부 아저씨가 불쌍했다. 아저씨네 집이 찌그러져가는 판자촌이 아닐까 그런 상상을 했던 거 같다. ‘가난한 사람들은 왜 계속 가난할까?’ 열여섯 소녀의 질문은, 마흔을 앞둔 내겐 화두가 됐다. 청소부 아저씨에 대한 동정어린 시선은 자본적 가치로 구조화된 삶에 대한 연민으로 확대됐다. 내가 그러했듯이 가난은 불행하다는 믿음, 가난..
또 비가오면 / 이성복 '어머니 비에 젖으신다' 사랑하는 어머니 비에 젖으신다 사랑하는 어머니 물에 잠기신다 살 속으로 물이 들어가 몸이 불어나도 사랑하는 어머니 미동도 않으신다 빗물이 눈 속 깊은 곳을 적시고 귓속으로 들어가 무수한 물방울을 만들어도 사랑하는 어머니 미동도 않으신다 발밑 잡초가 키를 덮고 아카시아 뿌리가 입 속에 뻗어도 어머니, 뜨거운 어머니 입김 내게로 불어온다 창을 닫고 귀를 막아도 들리는 빗소리, 사랑하는 어머니 비에 젖으신다 사랑하는 어머니 물에 잠기신다 - 이성복 시집 문학과지성사 “아침에 눈 뜨면 내가 오늘은 또 왜 깨어났나 싶다. 밥만 축내기 위해서 사는 거 같고. 이대로 가면 좋겠는데...” 어머님 대사다. 지난해부터 부쩍 심약해지셨다. 그러고 보니 벌써 연세가 칠십 중반이시다. 그 나이는 누구에게도 예정에 없던 나이일..
비극의 탄생, 모진고통조차 긍정하는 디오니소스 니체는 그리스를 좀 편애한다. 니체가 추구하는 강자, 고귀하고 역동적인 삶의 원형을 그리스인들에게서 찾고 적극적으로 예찬 옹호한다. 은 그리스 예술정신에 대한 예찬을 엮은 책인데, 결론은 삶의 문제로 돌아간다. 삶을 충실하게 실현한 고대 그리스 비극을 탐구하면서 니체가 살았던 당대 학문과 시대에 대한 비판을 곁들인다. 니체가 보기에 근대 예술과 문화는 순수성을 상실하고 상업적이고 천박해졌다. 산업으로서의 문화만이 살아남는 곳, 자유로운 개인의 감성과 개성이 설 자리를 찾지 못한 채 서성이는 곳으로 삶을 왜곡하고 경직시킨다는 것이다. 이 때 니체가 비판한 근대문화는 단순히 19세기의 문화가 아니라 그리스 문화가 사라진 시점부터 현재까지로 확장된다. 가령 신화가 살아 있던 그리스 문화를 밀어내고 들어선 로마..
<개념정리> 욕망하는 신체의 정치경제학 # 복합적 신체 노동자들이 자본가의 착취에 대항해 ‘우리가 기계가 아니다’ 라고 외치는데 기계가 맞다. 마르크스의 말처럼, 노동자는 비유가 아니라 실재로 산업기계의 이지적 기관이다. 인간이 어쩌다가 산업기계의 부속이 됐을까. 자본의 욕망(리비도) 때문이다. 자본은 자기 몸집을 불리기 위해 인간을 손으로, 화폐를 혈액으로 삼아 생산물을 낳는 신체다. 자본의 사례에서 보듯이, 욕망하는 신체는 단일체가 아니라 복합체이고 기계처럼 작동한다. 욕망의 흐름 속에는 인간과 기계, 사물과 동물의 구별없이 모두 접속하여 네트워크 형태의 신체를 구성한다. 즉, 하나의 부분-기관이 항상 다른 부분-기관에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리비도적 신체이다. 어떤 욕망의 흐름을 생산하고 어떤 흐름을 절단-채취하는지에 따라 신체는 매번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