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오르는말들

2008. 여름. 김동원 감독 인터뷰 풀버전_1

#0 김동원, 애틋한 동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송환>을 본 사람들은 거의 그랬을 것이다. 감동이 넘쳐 감독님을 존경하게 됐다. 감동의 크기만큼 감독이 궁금했다. <송환>은 곧 김동원의 자서전이었다. 그리곤 잊었다. 잊고 지냈다. 내가 송환을 감명 깊게 봤다는 사실조차. 한 달 전, 변성찬 선생님이 인디포럼에서 <끝나지 않은 전쟁>을 봤다면서 감독님 얘기를 꺼내셨다. “어, 선생님 저 그 영화 보고 싶어요. 구해주세요.” 다시 감독님을 떠올렸다. 마치 옛사랑처럼 그의 이름 석 자에 마음이 아련해졌다.

그렇게 안부를 궁금해 하고 있다가 오마이뉴스에서 취재의뢰를 받았다. 나는 ‘운명’이라고 정의 내렸다. 확대해석을 해버렸다. 너무 좋았다. 마구 설렜다. 염려도 앞섰다. 4년 전에 쓴 <송환> 감상 후기를 읽어보았다. 절절하더라. 4년 전의 내가 대견했다. 고민했다. 어떻게 해야 영혼을 여는 대화가 가능할까. 묻고 싶은 게 너무 많아서 질문지를 써놓고 나자 네 페이지가 넘었다. 줄이고 줄여서 그 정도였다.

인터뷰 할 때도 감독님은 실망시키지 않았다. 감독님 다큐의 주인공들처럼 진솔하게 이야기 하셨다. 중간에 어느 대목에선 목이 메어 딴 데로 시선을 돌려야 했다. 기사를 썼다. 원고를 삼십 매 분량으로 줄이려고 노력했다. 아쉬웠다. 기사도 불만스러웠다. 이유는 두 가지. 전체적인 완결성이 떨어졌다. 많은 이야기를 전하고 싶은 의욕만 앞서고 어느 것 하나 특화되지도 못한 거 같고 헐겁다.

또 하나는 내가 너무 깊이 개입했다. 사랑한 티가 난다. 어떤 결론을 미리 갖고 확인하려 들었다는 혐의를 지울 수 없다. 그게 아쉽다. 꼭 그런 건 아니었는데. 암튼 안에도 있지 말고 밖에도 있지 말고 중간에도 있지 말아야하는 인터뷰의 룰을 어겼다. 그래도 제법 소중한 이야기를 많이 나누었다고 생각한다. 아끼는 공책 가져가서 볼펜으로 받아 적어왔는데 열 페이지다. 녹취를 안 해서 부정확한 기록이 될 수도 있겠다. 기억의 재구성이라 해도 좋다. 하지만 그 때 그 당시 내 영혼의 울림의 진솔한 기록이다. 인터뷰 풀 버전을 올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