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포선셋책방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우리시대 이데올로기의 실재들


라캉의 실재개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실재에 관한 정의는 흡사 선문답을 연상시킨다. 깨달은 사람의 입장에서 선문답은 쉽고 간결하고 명확하나 깨닫지 못한 입장에선 어려울 수밖에 없다. 실재는 관성적인 현존, 실정성의 충만, 상징적 질서 한가운데에 뚫린 구멍, 간극이다. 실재는 상징화에 저항하는 견고하고 꿰뚫을 수 없는 중핵. 그 자체로는 아무런 존재론적인 일관성도 가지고 있지 않은 기괴한 순수 실체이다. 등등. 실재는 단단한 덩어리이면서 구멍이고 현존하면서 선행한다. 라캉(지젝)에게 이데올로기는 환상이고 이 세계를 이루는 상징질서이다.  실재는 환상 가로지르기를 통해서 만날 수 있다. 박정수의 분석을 참조해 우리시대 이데올로기의 실재들을 살펴보자.

* 파시즘의 실재

파시즘의 인간관계는 고문자와 피고문자처럼 물리적 힘(폭력)으로 이루어진 관계다. 여기에는 계약이라든가 교환같은 시장의 공리가 작동하지 않는다. 오직 힘만이 주인과 노예를 결정짓는 변수이다. 파시즘은 주로 남자다운 군인정신으로 표출된다. 교사와 학생, 가부장적 아버지와 자식, 때로는 연인관계에서도 ‘힘’으로 관계를 제압하려는 시도들은 종종 발견된다. 파시즘을 행사하는 이들은 왜소한 자아를 갖고 있다. 타자의 존재와 노예의 인정에 의존해서만 쾌락을 생산한다. 즉, 타자가 없으면 아무 것도 생산할 수 없다는 점에서 가장 가련한 노예다. 자기 스스로는 어떤 자존감도 느끼지 못하는 이 작은 인간들은 ‘가족’이나 ‘군대’ ‘민족’ ‘국가’라는 더 큰 ‘나’의 집단 동일성 속에서만 자긍심을 찾는다. 민족주의와 애국주의는 이들, 혼자서는 못 노는 '다 큰 어린애들'의 과장된 위안처다. 파시즘은 자본의 시장논리가 아니라 국가라는 폭력장치를 이용하여 시장을 장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