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꼬마도서관은 아시아인권문화연대(대표 이란주)가 운영하는 이주노동자를 위한 도서관이다. 이 곳에는 네팔·베트남·파키스탄·태국 등 12개국과 우리나라 책을 포함해 6000여 권이 구비돼 있다. 이주노동자와 지역 주민에게 책을 무료로 대여해 준다. 1월의 마지막 날, 꼬마도서관을 찾았다.
"책도 있고 친구도 있다"... 이주노동자들의 사랑방
"이주노동자가 책을 다 보느냐고 의아해하세요. '이주노동자' 하면 대개가 일만 하는 줄 알죠. 조금 나은 경우가 '불쌍하다'고 생각하고요. 하지만 그 분들도 우리와 똑같은 생활인입니다. 자기 나라를 떠나서 일하는 것뿐이죠. 삶의 한 부분으로 노동을 하는 거고, 당연히 여가를 즐기고 문화적 욕구를 충족할 권리가 있죠."
상임일꾼 신순영씨는 꼬마도서관을 '이주노동자의 사랑방'이라고 소개했다. 주 이용자는 도당동 근처에 밀집한 중소업체 이주노동자들이다. 가끔 멀리 평택이나 구리, 일산에서 오는 이들도 있다. 몰라서 못 올 뿐 일단 알면 한달음에 달려온다. 다음번에는 친구를 데려오기도 한다. 그렇게 알음알음으로 찾아오는 이들이 꾸준하다.
꼬마도서관은 공장의 잔업이 없는 수요일과 토요일은 오후 8시까지, 평소엔 6시까지 문을 연다. 이용자가 평일에는 십여 명이지만 주말이면 몇 배로 늘어난다. '인도네시아 3인방' '태국 3인방' 등 단골 이용자도 있다고.
"최근에는 국제결혼이 늘면서 2세 아이들을 동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동네에 사는 우리나라 아이들이 만화책을 보러 오기도 하고요. 도서관이니까 책 나눔이 중심이지만 이주노동자들은 좀 더 애틋하세요. 시간 나면 갈 곳이 있고 또 찾아가면 친구들이 있고 자국의 책이 있다는 사실에 큰 기쁨과 위안을 얻으시거든요. 매일 문 닫는 시간이면 와서 돕고 가는 분도 있어요."
'좋은삶공동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창안센터] 당신의 아이디어가 세상을 바꿉니다 (2) | 2008.09.26 |
---|---|
[친환경문구브랜드 공장] 친환경제품의 '촌티' 벗길래요 (0) | 2008.08.26 |
[풀꽃세상을위한모임] 새나 돌에게 풀꽃상을 드리는 환경단체 (2) | 2008.06.09 |
[느낌이 있는 헌책방] 동물 환경 이웃을 생각하는 '뿌리와 새싹' (0) | 2008.05.27 |
[참여연대 굿모닝세미나] -최재천 교수 "다름은 이음이 될 수 있다" (0) | 2008.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