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랑쇼

(3)
밝힐 수 없는 공동체 - 쌍용차조합원 죽음을 애도하며 얼마 전 쌍용차 노조원이 임씨가 죽었다. 13번째 사망자다. 쌍용차 사태 당시 1년 후 복직이라는 약속을 받고 무급자로 있던 조합원이 ‘차일피일 복직을 기다리다’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자신의 집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더 안타까운 사연은, 이 노동자의 아내가 지난해 4월 우울증을 견디지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기 때문이다. 아이들이 둘 있다. 고2아들과 중3 딸. 부모가 일 년 사이 잇달아 세상을 등졌다. 억울하고 원통한 죽음이다. 졸지에 고아가 된 충격도 크겠지만 지난 2년간 부모의 피폐한 처지를 겪어내는 동안 아이들이 얼마나 힘들었을까. 쌍용차 노조원 부부 죽음의 사연연이 전해지면서 모금이 전해진다고 한다. 공지영씨가 500만원 보내고 정혜신 전문의가 아이들 상담치료를 지원한다고 기사가 났다. 나도..
문학의 공간 - 카프카와 작품의 요구 모리스 블랑쇼가 누구냐. '쓴다는 것은 매혹이 위협하는 고독의 긍정으로 들어서는 것이다.'라는 말을 남긴 사람이다. 더없이 클래식한 표현. 왠지 프랑스에서 태어나 걸음마 떼면서부터 철학을 시작하여 문청을 거쳐 사상가로 깊은 주름을 만들어낸 프렌치코트 깃 세운 노신사가 떠오른다. 맞다. 1907년에 태어나서 2003년에 돌아가셨으니 참 오래 사셨다. 철학과 문학비평 등등 작품이 많다. 이 주저서로 알려졌다. 그 책을 넘기면 '철학책'스러운 관념어들이 나열돼 있다. 본질적 고독, 문학의 공간, 작품과 떠도는 말, 릴케와 죽음의 요구, 영감, 문학과 근원적 경험 등등. 예상대로 읽기가 수월치 않다. 강밀도가 높다. 그러니 고급수제초콜릿처럼 한번에 읽어치우지 말고 혀에 품고 녹여야한다. 글을 눈에 바르고 있으면..
심보선 시인 - 나의 시는 1.5인칭 공동체 언어다 “사실 시를 쓰면서도 열심히 시를 읽지 않았어요. 당시 관심을 갖고 있던 사람이 있었는데 오히려 그 친구가 저보다 시집을 많이 읽은 문학소녀였죠. 그 친구가 기형도 시집을 빌려주었어요. 그때 지하철 안에서 읽고 다녔죠. 꽤 여러 번 읽었어요. 그 이유가 뭐였냐 하면, 시집을 그 친구에게 돌려주면 바로 ’안녕’을 고할까 봐 ‘완독’을 미루고 있었던 거죠. 물론 그러는 와중에 빨리 돌려달라는 그 친구의 독촉 전화는 계속됐지만.(웃음) 그래서 아직 다 못 읽었다고 미루고 미루고 하면서 몇 번이고 다시 읽었어요. 결국 돌려줬는데 그러고 나서 바로 퇴짜 맞았죠.(웃음)” – 기형도 20주기 기념문집 발간기념 좌담 중에서 남겨짐, 그 후 폐인되는 사람 있고 시인되는 사람 있다. 심보선은 시인이 됐다. 1994년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