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복한인터뷰

심보선 시인 - 나의 시는 1.5인칭 공동체 언어다


 

“사실 시를 쓰면서도 열심히 시를 읽지 않았어요. 당시 관심을 갖고 있던 사람이 있었는데 오히려 그 친구가 저보다 시집을 많이 읽은 문학소녀였죠. 그 친구가 기형도 시집을 빌려주었어요. 그때 지하철 안에서 읽고 다녔죠. 꽤 여러 번 읽었어요. 그 이유가 뭐였냐 하면, 시집을 그 친구에게 돌려주면 바로 ’안녕’을 고할까 봐 ‘완독’을 미루고 있었던 거죠. 물론 그러는 와중에 빨리 돌려달라는 그 친구의 독촉 전화는 계속됐지만.(웃음) 그래서 아직 다 못 읽었다고 미루고 미루고 하면서 몇 번이고 다시 읽었어요. 결국 돌려줬는데 그러고 나서 바로 퇴짜 맞았죠.(웃음)”

                                        – 기형도 20주기 기념문집 <정거장에서의 충고> 발간기념 좌담 중에서


남겨짐, 그 후 폐인되는 사람 있고 시인되는 사람 있다. 심보선은 시인이 됐다. 1994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해 14년 만에 시집 <슬픔이 없는 십오 초>를 냈다. 문단에선 귀한 자리에 불러 마땅한 ‘2000년대 젊은 시인’이고 그를 사회학자로 아는 어느 네티즌에겐 ‘생각보다 유명한 시인’이며 시를 사랑하는 이들에겐 ‘슬픔의 자산가’(허윤진)이고 장모님에겐 ‘꽤나 진지한 태도의 시인’이며 유학시절 사회운동가 친구에겐 ‘한국에서 온 좌파 급진주의’이다. 시편의 자기진술을 보면 ‘지상에서 태어난 자가 아니라 지상을 태우고 남은 자’인 나는 ‘키 크고 잘생긴 회계사가 될 수도 있었던’ ‘크게 웃는 장남’이자 ‘해석자’이며 이따금 ‘고독한 아크로바트’일 뿐이고, 이 모든 ‘나는 나에 대한 소문이다.’

껌처럼 쓰고 버린 시, 스물넷 시인의 탄생

시(詩)를 논하는 것은 신(神)을 논하는 것처럼 두려운 일이라고 일본의 시인 니시와키 준사부로는 말했다. 시인을 만나는 일도 못지않다. 한 때 신적인 지위였던 옛사랑을 만나는 것처럼 반은 두렵고 반은 설레는 일이다. 어느 가을날 심보선 시인을 만났다. 아니, 시인과 마주하면 언제나 가을이다. 마침 그가 은행잎 빛깔의 상의를 입었다. 가슴팍이 노랗다. 몸에서 우수수 떨어진 말들이 낙엽이 된 걸까. 아주 고전적인 시인의 몽타주를 그리려는 순간 그가 붓을 슬며시 가져간다.

“시인이라고 하면 보헤미안 스타일에 가난하고 늘 반쯤 취해 있고 오타구적인 그런 모습을 생각하잖아요. 주위에 그런 시인 친구가 있긴 한데 저는 아니에요. 시인 중에는 드물게 정규직에 유학파이고…(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