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복한인터뷰

이상엽 사진가 - 레닌에서 만화까지, 사진 그 가능성의 중심

손가락 끝에서 시간의 잎들이 피어난다
- 진은영 ‘긴 손가락의 詩’ 중에서

   

# 레닌, 기억  

레닌이라니. 전생에 잠깐 스친 첫사랑처럼 흠칫 발걸음을 불러 세우는 이름이다. 우연찮게 일 년 터울로 세 권의 책이 나왔다. <레닌의 노래>(2006) <레닌이 있는 풍경>(2007) <지젝이 만난 레닌>(2008) 각각 시집, 사진책, 철학서인데 표지나 표제가 빨갛다. 마치 3부작 같다. 아직도 참숯처럼 뜨거운 가슴으로 레닌을 호명하는 이들은 뉘신가. 시인 김정환은 레닌을 노래했다. 기억의 시간의식이 ‘지워지는 것’은 지나간 삶의 의미와 가치가 ‘짓밟히는’ 것이라며 “인간의 조직이 아름다웠던 시간”을 환기했다. 철학자 지젝은 레닌으로의 회귀가 아니라 레닌이 반복되어야 한다며 “아연할 정도로 실패한 이름 레닌” 안에는 구현해낼 가치로 충만한 유토피아적 불꽃이 있음을 주장한다.

사진가 이상엽은 몰락의 땅, 레닌의 나라로 떠났다. 시베리아횡단열차 타고 9,938km를 달렸다. 도시 곳곳마다 거리의 풍경과 살을 섞으며 다리 아프게 서 있는 ‘지독히 쓸쓸한’ 레닌을 목도했다. 세상은 레닌에 대해 말하지 않음으로써 레닌을 보이지 않게 했지만 그는 “한 시대 종말의 지표이자 미래사회에 대한 묵시론적 풍경” 레닌을 되살렸다. 기록함으로써 기억했다.  

레닌이 있는 풍경


늦여름 충무로. 오후6시 잔광이 흩날리는 길모퉁이에 시베리아횡단열차가 멈춘다. 좁은 계단을 내려오는 그의 어깨에 레닌의 쓸쓸함이 내려앉은 듯하다. 참 오래도, 그리고 멀리도 돌아왔다. 최루탄 매캐한 아스팔트로 출근하던 새내기 사진기자가 중년의 다큐멘터리 사진가가 되었으니 말이다. 그 사이 그는 20개국이 넘는 아시아 땅을 밟았으며 중국 10년, 러시아 3년, 긴 호흡으로 작업했다. 우리 땅에서는 이상한 숲 DMZ, 용산 철거민, 4대강 등을 기록했다. 미순이·효순이 사건 때 사진가 100인 시국선언을 주도했고, 얼마 전 4대강 살리기 사진가 80명의 서명도 이끌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