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은유칼럼

일하지 않을 권리

자유기고가 시절 ‘프리랜서’라는 명함을 파서 일했다. 있어 보인다고 남들은 말했고 나는 비정규직도 아니고 무정규직이라고 둘러댔는데, 이번에 정식 용어를 찾았다. 호출형 노동계약. “노동시간을 미리 정해두지 않고, 필요할 때 ‘호출’하면 달려가야 하는 노동 형태. 고용주는 노동시간을 보장할 의무가 없으며, 노동자는 실제 노동한 시간에 대해서만 임금을 받는다(59쪽).”

호출형 노동자는 시간 관리가 생명이다. ‘시간은 돈’이므로, 돈이 되는 시간 창출을 위해 주도적으로 머리를 싸매야 한다. 나는 취재를 위한 왕복 시간, 원고 집필 시간을 측정해 일을 수주받았고 조금의 오차도 없이 진행했다. 마감 기계로 일하다 보니 나를 호출하는 곳이 불어났고 그럴수록 내 속도에 발맞추지 않는 동료를 견디지 못했다.

프리랜서 생활 5년. 나는 “정확성, 효율성, 생산성을 모토로 삼(43쪽)”는 시간 노예가 되었다. 그 사실을 몰랐고 힘들지도 않았다. 자기 착취의 습성이 몸에 배어 ‘쪼는 사람’ 없어도 스스로 일하는 근면함은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경쟁력이기도 했으니까. 그런데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면서 내 부지런한 노동자 성향, 즉 강박적 시간관념에 충돌이 일어났다. ‘게으름뱅이들’을 만난 것이다.

글쓰기 수업에는 반장이 있다. 매주 수업을 마치면 다음 주 교재와 과제를 알리는 공지를 올린다. 반장은 자원자가 맡는다. 나는 늘 신신당부한다. 결석한 학인들을 위해 가급적 이틀 안에 올려달라고. 그런데 공지를 제때 안 올리는 반장들이 생겨났다. 주로 20~30대로, 유급 노동에 얽매이지 않고 진선미를 추구하며 산다는 공통점을 지녔다. 한마디로 문화 백수들이다. 한 친구는 내가 문자로 두어 번 얘기했더니 “직장 상사 같다”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듣고 보니 맞는 말이었다. 뭐 때문에 나는 쫓기는 사람처럼 안달인가.

최강 게으름뱅이는 ‘마음’이라는 이름의 반장이다. 마음은 반장을 자원했지만 타의 모범이길 거부했다. 수업에 매번 지각이었다. 처음엔 10분, 그다음엔 20분, 30분…. 심지어 수업이 끝난 다음에 온 적도 있다. 과제도 내킬 때 제출하고 공지도 시간 날 때 올린다. 하지만 마음이 올리는 공지는 자신이 일주일간 즐긴 음악이나 영화, 책에 관한 얘기와 정보가 넘친다. 좀 늦긴 해도 영혼의 양식이 담긴 공지에 학인들은 감동했다. 예전 같으면 ‘느려터짐’에 속 터졌을 나도 점점 빠져들었다. 마음에게 고백했다. “그대 같은 시(詩)적인 반장은 처음이야.”

할 수 있는 한 피해를 덜 끼치는 일 

데이비드 프레인 지음
장상미 옮김
동녘 펴냄

마음은 대학 때 학보사에서 일했고 이런저런 직장을 다녔다. 그런데 조직 생활이 맞지 않아 나왔단다. “저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훼손되는 거 같았어요” 라고 한다. 기성세대에겐 ‘허투루 사는 것처럼 보이는’ 젊은이다. 생활은 어떻게 하느냐고 나는 묻지 않았다. 직장 다니는 이들에게 “지루함, 얽매임, 소진되는 느낌(11쪽)”을 어떻게 견디느냐고 불쑥 질문하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대부분 일을 거부하는 동기는 자기 보호다. “이런 사례를 유별나거나 일탈적이라 치부하기보다는, 일을 재평가하고 단축하는 데 영감을 주는 원천으로(163쪽)” 바라보려 한다. ‘일과 삶의 균형’은 캠페인이 아니라 “시간을 둘러싼 정치”라고 푸리에도 말했다. 시곗바늘 같은 엄격함으로 소득, 권리, 소속감을 오직 일에서만 추구해온 나는 조금 두렵고 한편 즐겁다. “무슨 일 하세요? 라는 질문에 ‘할 수 있는 한 피해를 덜 끼치는 거요’(267쪽)”라고 답하는 상상은 얼마나 통쾌한가. 

참, <일하지 않을 권리>는 마음이 뽑은 2018년 올해의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