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은유칼럼

전 잘못한 게 없는데요, 그 말 한마디

2014년 4월17일, 세월호가 침몰한 다음 날 영화 <한공주>가 개봉했다. 밀양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을 모티브로 한 작품으로 배우 천우희가 피해자 역을 맡았다. 한 여중생이 남학생들에게 집단 폭행을 당한 이후 일상을 보여주는 사물은 트렁크다. 딱 그만큼이 피해자에게 허락된 삶의 지분 같았다. 가해자는 지붕 있는 집에서 발 뻗고 잠들고 피해자는 짐 가방 끌고 떠다니는 현실. 또다시 거처를 옮겨야 하는 상황에서 한공주는 입을 연다. “전 잘못한 게 없는데요.”

조용한 되물음. 여성주의 논리나 주장이 아닌 그대로의 사실을 직시한 저 발언. 항변이라 하기엔 담담한 발화가 화살처럼 박혔다. 잘못 없는 사람이 되레 질긴 고통과 불편을 감내해야 하는 가부장제의 부조리한 현실을 환기했다. 피해자가 말하는 주체로 등장하고 그 말의 결과 힘을 살려냈다는 점에서 <한공주>는 내게 좋은 영화로 남아 있다.

영화 <한공주>는 밀양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을 모티브로 한 작품이다.

현실은 영화의 상상력을 뛰어넘는다. 나는 2013년부터 성폭력 피해 여성들과 글쓰기 수업을 진행한다. 거의 매일 매스컴에서 접하는 기사들, ‘인면수심’이라는 타이틀로 소비되는 성폭력 사건을 당사자가 피해자의 언어로 재구성하는 작업을 함께한다. 처음엔 한 사람을 성적 도구화하는 가해자의 폭력에 분노했지만 점차 피해자의 목소리에 빠져들었다.


한 피해자는 성폭력상담소에 왔던 날을 복기했다. 상담 선생님이 너는 꿈이 뭐냐고 물었다. 안 맞고 강간 안 당하고 사는 게 꿈이라고 답했다. 자신은 감히 그럴 자격이 없다고 생각했지만, 선생님은 한 대도 맞지 않고 강간당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다고 그게 당연한 거라고 말해주었다. 그 말이 믿어지지 않았고 단지 나를 위로하는 말이려니 생각했다며 글을 이어나간다.

교사나 가수 같은 직업이 아니라 폭력을 당하지 않는 상태가 꿈일 수 있다는 걸 한 번도 상상해보지 못했던 나는 저 부분을 거듭 읽었다. 꿈의 실현을 믿지 않았던 피해자는 지금은 꿈대로 맞지 않고 살고 있다. 한 존재를 피해 경험에 국한하지 않고 삶 전반을 이해하려는 상담사의 사려 깊은 물음, 에두르지 않는 정직한 대답까지, 피해자가 말하기 시작할 때 더는 피해자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사실은 언제 경험해도 아프고 벅차다.

말하기와 분노하기로 세상에 참견하기 


<철학하는 여자가 강하다>
레베카 라인하르트 지음 
장혜경 옮김, 이마 펴냄

이 말하기의 중요성을 독일의 철학자 레베카 라인하르트는 <철학하는 여자가 강하다>에서 강조한다. “여성의 역할이라는 족쇄(155쪽)”, 남성과 여성의 본질을 규정하려는 왜곡된 성 고정관념이 남성에게 어떤 권력을 주고 여성을 어떻게 무력화시키는지 분석하며, 자기 삶의 권력을 찾기 위해선 말하고 행동하라고 독려한다. “선뜻 용기가 안 난다고? 당신이 말과 기호로 이 세상에 참견하지 않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똑똑히 보라(100쪽).”

최근 논란이 된 안경환의 <남자란 무엇인가>는 보여주었다. “폭력을 동원해서라도 최종 목적을 달성하고 싶은 것이 사내의 생리다. 거부되면 불안은 분노로 전환된다.” 그러니까 수동적인 것이 여성의 본성이라고 말한 루소부터 폭력 등을 생물학적 남성의 본질로 규정하는 한국의 법학자까지, 남성 엘리트의 말하기는 일관되고 공고했다. 그것은 수많은 한공주를, 강간당하지 않고 살고 싶다는 딸들을, 남자친구에게 살해당하는 사망자를 낳는 데 일조했다. 폭력은 ‘사내들의 생리’가 아니라 사회적 무의식의 허용에 따른 ‘권력 행동’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말하기에서 나아가 분노하기까지 행동 권력의 탈취를 권한다. 물론 “분노하는 남성은 불안을 조장하지만 분노하는 여성은 우습다(127쪽)”는 현실도 상기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하기와 분노하기로 세상에 참견하는 것밖에 방도가 없다. “전 잘못한 게 없는데요” “안 맞고 강간 안 당하고 사는 게 꿈이에요” 같은 말들이 당장은 우습고 나약할 테지만 거기엔 당연한 것을 뒤집어보게 하는 힘이 있다. 말하기에 실패해도 “우리의 실존은 절대 실패하지 않는다(7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