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은유칼럼

은유 읽다 - 슬픔만 한 혁명이 어디 있으랴

“눈물이 안 멈춰요.” “대통령 연설에 눈물 흘리긴 처음이에요.” 5월18일, 눈물바람으로 SNS가 넘실댔다. 문재인 대통령의 5·18 민주화운동 기념사 전문과 동영상을 너도나도 인용하고 공유하고 복기했다. 한날한시에 다 같이 운다. 남의 아픔에 감응하는 이 집단적 애도극을 보며 비로소 정권 교체를 실감했다. 

내게 눈물은 길조다. 모두가 웃는 행복한 나라가 아니라 누구나 마음껏 슬퍼할 수 있는 사회를 바랐다. 세월호 참사에 눈물 흘리고 가슴 아파할 줄 아는 대통령을 가졌으면 했고, 노동자의 죽음에 죄책감을 느끼는 기업인이 한 명이라도 있었으면 했고, 폭력이나 치욕을 당했을 때 큰 소리로 울고불고 떠드는 평범한 사람들이 더 많았으면 했다. “모두가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라는 시구가 긴 병명처럼 세간에 오르내릴 정도로 무감각의 일상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이 호환마마보다 두려웠다.

글쓰기를 배우러 온 이들도 더러 고백하곤 한다. “열심히 산다고 살았는데 슬픔이나 분노 같은 감정이 메말라서 고민입니다.” 그러면 나는 묻는다. 왜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가가 아니라 왜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걸 ‘문제 있다’고 여기는지. 그 각성의 계기가 무엇이냐고. 돈이나 스펙이 아닌 슬픔 없음을 근심하는 사람의 탄생이 내심 반가웠다. 한 사람이 어떻게 자기감정과 느낌을 되찾을까. 이 물음은 어떻게 인간다운 세상이 가능한가와 닿아 있다.

내 슬픔의 계보를 따져본다. 슬픔의 첫 습격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이다. 자료 사진을 보고 책을 읽고 망월동 묘역을 다녀오면서 소위 세상에 눈 떴다. 당시 구 묘역의 황량한 무덤가에 놓인 영정 사진에 눈 맞추고 유가족이 써놓고 간 편지를 일일이 다 읽었다. 충격이 컸다. 그때부터 오월 광주를, 억울한 죽음을 잊지 않기 위해 통장부터 회원 가입까지 온갖 비밀번호 네 자리를 0518로 지정했다. 그 숫자를 암호 삼아 세상을 읽고 슬픔을 동력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속지 않는 자들이 방황한다>의 저자 백상현은 이렇게 말한다. “슬퍼하는 것 자체에 우리가 알지 못했던 역능이 존재한다(23쪽).” 슬픔에 빚진 나로선 동의하지 않을 수 없었다. 슬퍼서 책 보고 슬퍼서 글 쓰고, 이 슬픔에서 돌아 나와 저 슬픔으로 건너간다. 

이 책은 슬픔이라는 개념으로 세월호 사건에 철학적 접근을 시도한다. “세월호와 함께 사라져갔던 단원고의 어린 학생들이 우리에게 전한 이 슬픔은 우리를 스펙터클의 관객석에 ‘가만히 앉아’ 있을 수 없게 하는 특별한 슬픔의 형식이었다. 존재를 흔들고, 자리에서 일어나게 만드는, 그리하여 광장으로 나서게 만드는 슬픔이었다(61쪽).”

슬픔은 정의로운 세계에 대한 열망 

슬픔은 이렇게 혁명이 된다. 실제로 많은 이들이 내가 80년대 ‘광주’를 통해 그랬듯이 ‘세월호’로 존재의 지진과 정치적 각성을 경험했다. 슬픔의 주체로서 광장을 메웠다. 저자가 라캉을 빌려 강조하는 것은 슬픔 자체보다 슬픔을 끌고 가는 힘이다. 권력의 부패와 무능이 야기한 도저히 이해되지 않는 일들은 끝까지 이해하지 않기. 죽음과 상처를 쉽게 봉합하지 말기.

이번 5·18 민주화운동 기념사가 감동적인 이유가 바로 이 ‘슬픔의 가치’가 존중받았기 때문일 것이다. “슬픔의 주체들이 공동체의 내부를 유령처럼 떠돌게 되었을 때 국가는 그들을 억압하려 했고, 길들이려 했다(44쪽).” 광주를 기억하는 이들은 ‘빨리 일상으로 돌아가라’ ‘산 사람은 살아야 한다’ ‘밝은 미래를 내다보자’ 같은 “생각의 방황을 정지시키는 고정관념들(25쪽)”에 타협하지 않았고 슬픔을 털어내지 않았다. 문학에서 일상에서 현장에서 광주를 불러냈다. 

슬픔은 “정의로운 세계에 대한 열망이자 가장 근본적인 정치적 욕망(45쪽)”이다. 슬픔의 인간띠가 더 길어지고 질겨졌으면, 부디 애도의 눈물바람이 오래갔으면 한다. 아무도 침몰하지 않도록.



- 시사인 게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