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쓰기의 최전선

글쓰는 여성의 탄생


여성들의 글쓰기에 관심이 갔다. 자본주의 역사보다 20배가 더 긴 모성의 역사. 누구의 엄마, 누구의 딸, 누구의 아내로 살아온 여성은 자기 언어를 갖지 못했다. 세상을 바꿔야할 이유가 없는 남성의 언어로 여성의 삶은 설명하기 힘들다. 자기 삶을 이해하기도 설계하기도 어렵다. 그래서 여성의 글쓰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특히 동네 카페에 가면 머리 맑은 아침부터 엄마들이 둘러앉아 답도 없고 끝도 없는 학원얘기로 시간을 보내는 걸 볼 때마다 안타까웠다. 저 모임이 주부들 독서토론 모임이면 얼마나 좋을까 싶었다. 자식을 향한 일방통행로에서 자기에게로 삶의 물길을 돌리면 엄마와 아이가 더 행복해질 텐데 생각했다.  때마침 여성민우회생협에서 일하는 후배가 글쓰기 강의를 해보지 않겠느냐고 제안했다. 문제는 거리가 멀고 강의료가 적다는 건데, 망설이다가 결단을 내렸다. 나도 여성의 글쓰기를 배우고 싶어서이다.

511일부터 매주 수요일에 일산에 간다. 수업을 두 번 마쳤다. 첫 시간 자기소개 할 때 그동안 아이 셋 키우면서 너무 내가 없이 살았다며 눈가가 발갛게 젖어든 여성 1, 두 번째 시간에 자기 글 읽으면서 목이 메어와 낭독을 중단한 여성 2인이 탄생했다. 그러면 누군가가 나서서 대신 글을 읽어준다. 옆자리에서 같이 눈물을 닦는다. 이것은 스피노자가 말한 정서적 모방(affectuum imitatio)’아닌가. 원인도 모른 채 누가 눈물을 흘리면 덩달아 울고 누가 웃으면 따라 웃는 현상. 스피노자는 단지 어떤 신체가 우리와 유사하다는 바로 그 이유만으로도 그 신체와 유사한 정서를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정서적 모방이 가능하다는 이유에서 인류라는 집합적 신체를 떠올렸다. 그러니 정서적 모방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그는 인간이 아닌 셈이고, 우리는 정서적 모방으로 인해 인간사회를 이루고 산다는 것이다. 진한 감응의 시간. 여성이라는 집합적 신체의 탄생을 목도하면서, 나는 일산이 멀다고 안 가면 어쩔 뻔 했나 안도하며 동시에 감동했다.


 

 

'글쓰기의 최전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관적인 글과 객관적인 글  (6) 2011.06.18
시, 삶의 입구  (15) 2011.05.30
쓰임새의 고통  (2) 2011.05.21
낯선 존재와 소통하기  (12) 2011.05.13
친구와 동무  (10) 2011.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