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은유칼럼

지금, 여기에서 사라진 십대라는 존재

“이번에 당선된 대통령이 누구냐에 따라 이제 막 성인이 되어 마주할 사회의 모습이 달라질 테니 투표권 없는 우리들은 불안하기만 했다. 그저 어른들이 멀쩡한 사람을 뽑아주기만을 지켜볼 뿐이었다. 그때 어리숙한 권력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너네 또 어른들 흉내 내니? 너희들이 뉴스 볼 시간은 있니? 맨날 페이스북이나 하면서 확실한 정보도 아닌데 함부로 말하고. 쓸데없는 얘기 할 시간에 영어 단어 한 개라도 외워라.’ 과학 선생님이었다.” 

나는 나의 무지가 들통나서 여러 번 당혹스러웠다. 청소년 페미니즘 단체에서 강의를 할 때다. 십대의 화장에 관해 이야기하면서 물었다. “학교에서 화장을 허용하나요?” 몇몇 아이들이 입을 꾹 다물고 있었다. 쑥스러워서 그런가 보다 하고 넘겼는데 나중에 진행자가 말해주었다. 학교를 다니지 않는 아이들이 있다고. 난 ‘탈학교 청소년’이란 개념은 알아도 내 앞에 학교에 다니지 않는 청소년이 있으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던 거다. 

일하는 청소년도 생소하긴 마찬가지. 십대 학인들이 노동 경험을 써온 글을 보고 바보처럼 물었다. 아르바이트하면 힘든데 왜 살이 찌냐고. 서너 명이 돌아가며 답했다. ‘손님 몰리면 밥 제때 못 먹어요. 먹을 수 있을 때 먹어야 하니까 빨리 먹어요. 빨리 먹을 수 있는 패스트푸드를 주로 먹어요.’ 그들은 주로 편의점, 패스트푸드점, 뷔페, 카페, 호텔 등에서 평일 저녁이나 주말에 일한다고 했다. 일상의 영역에 섞여 살면서도 청소년 노동자라는 존재를 나는 거의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왜 그럴까. 

이수정 외 지음교육공동체 벗 펴냄

“흔히 청소년은 ‘지금, 여기’의 존재가 아닌 ‘미래’의 존재로 취급된다. 청소년은 아직 배움의 과정에 있는 학생이고, 사회에 나갈 준비를 하고 있는 예비 노동자이며, 장차 국가를 이끌어갈 시민이라는 식이다. (…) 이미 노동 현장에 진입해 일하고 있는 청소년들이 다수 있다는 사실 역시 시야에서 사라진다(204쪽).” 

청소년 노동 르포집 <십대 밑바닥 노동>에 따르면 이 같은 ‘비가시화’는 청소년 노동 문제를 덮거나 주변화하는 전략이다. 그러니까 이 나라 어른들은 청소년을 미숙한 존재, 뭘 모르는 애들, 잠자코 공부나 해야 하는 학생으로 규정하면서 노동시장에서 저임금·장시간 노동으로 신나게 부려먹고 있는 형국이다. 전태일이 십대에 그랬듯이 참다못한 그들도 작당한다. 

성숙하고 각성된 ‘투표권 없는’ 정치 주체 

“우리가 상상했던 게 있어요. 일하는 청소년들이 모여서 노동조합을 만들고, 우리끼리 시청광장을 점거하고 시위하고, 한날한시에 파업하고 그럼 멋지겠다. (…) 청소년 노동자인 우리가 이 사회 안에 같이 살고 있고, 또 우리가 일하고 있기 때문에 세상이 이만큼 굴러가고 있다. 우리가 멈추면 너희도 멈춘다. 우리도 노동자다! 하고 외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싶었죠(143쪽).” 

부끄러움에 고개가 숙여질수록 조금씩 보이기 시작한다. 청소년이라고 해서 모두 교복을 입지 않으며, 수능이라는 목표를 향해 일렬로 우르르 달려가지도 않는다. 공부하는 십대가 있다면 노동하는 십대가 있고, 파업을 모의하는 십대가 있고, 투표권을 열망하는 십대가 있다. 1년 전 촛불을 가장 먼저 들었던 이들도 십대고, 세월호 노란 리본을 가장 늦게까지 달고 있는 이들도 십대다. 어른들이 ‘멀쩡한 사람’을 뽑아주길 두 손 놓고 지켜보기엔 청소년은 너무도 멀쩡한, 성숙한, 각성된 정치적 주체임을 느낀다. 늦게나마 청소년 투표권과 노동권과 인권의 보장을 위해 노력하는 멀쩡한 어른이고 싶다. 


* 시사인에 실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