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은유칼럼

울더라도 정확하게 말하는 것

“남자 너무 미워하지 마세요. 우리 남자들도 알고 보면 돈 버느라 불쌍하거든요.”

 

강연을 마치고 질문 시간에 손을 든 중년 남성이 말했다. 난 강연 내용을 재빨리 복기해보았다. 남자를 밉다고 했나? 그렇지 않다. 남성중심사회에서 여성으로서 겪는 곤란과 불편, 내가 만난 여성들이 당한 폭력에 대해 상세히 이야기했을 뿐이다. 굳이 따지자면 남자보다 여자의 불쌍함을 이야기를 한 셈이다. 그것을 두고 남자에 대한 미움, 투정, 원망으로 받아들이고 그는 동정과 배려를 당부했다.

 

당황한 나머지 난 말을 얼버무렸다. 그날 집으로 돌아와 뒤늦게 답변 시나리오를 짜보았다. “제가 남자를 미워한다는 느낌은 어떤 대목에서 받으셨어요? 전 여성의 삶을 이야기했거든요. 선생님이 여성이 겪는 아픔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질문(의견)을 질문으로 되묻는 방법. 이 정도가 가장 무난한 대응책이라고 결론지었다. 

 

동시에 이상한 열패감이 들었다. 무작위로 날아드는 어떤 말에도 최대한 공손하고 정확하게 답변하려고 일종의 ‘말하기 연습’에 몰두하는 모습은 얼마나 처량한지. 이는 괴팍함, 무뚝뚝함, 거침없음이 남성다움의 전유물로 여겨지듯이 친절함, 보살핌, 포용성을 여성다움의 책무로 익혀온 강박일지도 모른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말하기는 늘 미끄러진다. 부정, 무시, 왜곡당한다.

 

글쓰기 수업에서 페미니즘 관련 책을 읽고 토론할 때 벌어지는 풍경이 있다. 함께 읽은 책의 내용에 공감한 여성 학인들은 자기 이야기를 쏟아낸다. 살면서 억울했던 일, 분했던 일, 기가 막혔던 일... 그러면 남자 학인들의 표정은 조용히 어두워진다. 급기야 “나는 집에서 설거지도 잘하는데 왜 그러느냐” 항변하기도 한다. 그러면 말길이 끊긴다. 분노하는 여성은 우습지만 분노하는 남성은 위협적이기 때문이다.

 

여성들은 ‘그냥’ 말한다. 말할 수 있을 때 말한다. 책의 서사에 자극받아 억압되어 있던 자기 얘기를 꺼낸다. 너도 그랬니, 나도 그랬어, 말의 봇물이 터지고 경험의 파도가 쉴 새 없이 밀려오는 것뿐이다. 여성의 공적 말하기 기회가 드물기에 여성의 말하기를 듣는 기회도 없다면, ‘그냥’ 듣고 있는 게 남성으로선 어렵고 어색한 일일 수도 있겠다. 그러나 평생의 억울함을 터놓는데 잠시의 억울함을 견디지 못하고 끼어드는 말은 제 스스로 힘을 잃는다. 

 

한 지역에서 폭력과 존엄을 화두로 강의를 했을 때다. 관객 중 가장 연장자인 남성이 가장 먼저 손을 들고 소감을 말했다. “작가님은 살면서 폭력을 당한 적이 많나 봐요?” “폭력을 많이 당한 거 같아서요.” 어순을 바꿔가며 반복했다. 그날 강의의 줄거리는 내가 직간접으로 경험한 폭력의 서사였다. 간첩조작사건피해자 인터뷰집 『폭력과 존엄 사이』를 쓰면서 알게 된 국가폭력, 가정폭력과 성폭력 피해자와 글쓰기 수업을 하며 발견한 일상의 폭력, 평소 무심히 사용하는 편견과 차별의 언어 폭력 등등.

 

그건 누구나 예기치 않은 폭력에 노출될 수 있음을 알리는 보고문이면서, 타인의 고통에 무지하고 무심했던 데 대한 반성문이기도 하고, 폭력을 어떻게 줄여나갈지 같이 모색하자고 촉구하는 선언문이기도 한, 아프고도 조심스러운 말들이었다.

 

질문자의 기습적인 발언은 나를 향하는 듯했지만, 막상 나란 사람이 얼마나 많은 폭력에 노출되었는가는 중요치 않았다. 그는 말을 이었다. 결혼한 지 30년이 넘었고 이제는 집안일에 솔선하고 아내를 위한다며 자신의 눈을 빼서 주어도 아깝지 않고 목숨도 바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니까 세상에는 폭력을 휘두르는 (악마 같은) 남자만 있는 게 아니라 몸을 던져 희생하고 노력하는 (천사 같은) 남자도 있다는 걸 말하고 싶은 듯했다. 

 

이 낯설고 익숙한 상황, 이야기의 전후 맥락을 살피기보다 자신을 불쑥 내세우는 남성성의 노출에 난 또 찔렸다. 이번엔 정신을 집중해 말했다. 내 몸을 통과한 폭력의 기억에 대한 가치 폄훼를 바로 잡아야 했다. 당신의 발언은 내가 폭력의 당사자여도 문제, 아니어도 문제다. 용기 내어 자기 아픔을 터놓고 그 아픔에 같이 아파하고 감응한 사람들에 대한 결례이자 업신여김이다. 폭력의 피해를 개인의 박복과 불운으로 취급하는 것, 수치심을 심어주어 침묵을 강요하고 사적인 문제로 돌리는 관습이 얼마나 많은 폭력을 양산하고 방치하는지가 오늘 강의 주제라고 정리해주었다.

 

물론 냉정하고 초연하지 못했다. 맥없이 터진 눈물을 꾹꾹 누르며 말했고 그는 주저 없이 사과했다. 자신이 강의 중간에 들어와서 앞의 이야기를 못 들었고 인문학을 배운 지 얼마 안 돼서 잘 몰라서 그렇다는 말도 덧붙였다. 선량한 눈매를 가진 그의 사과를 의심하진 않지만 그럴수록 그의 언행은 이해하기 어려웠다. 강의 내용 파악이 어렵고 공부가 부족하다고 여기면서도 스스로 말하도록 허락했고 기어코 한 수 가르치려 들었으므로. 

 

1.jpg

“왜 그런 걸 묻죠?”라고 재깍 되물을 줄 아는 사람

 

“내가 나에 대해서, 그리고 일에만 몰두하는 매정한 남자와 결혼하여 네 아이를 낳고 살면서 분노와 비참함으로 자주 속을 끓였던 어머니에 대해서 이야기한 책을 쓴 뒤였다. 웬 인터뷰어가 혹시 내가 인생의 짝을 찾지 못한 건 학대하는 아버지를 둔 탓이었느냐고 기습적으로 물었다. 그 질문은 내가 인생에서 하고자 했던 일이 무엇인지를 제멋대로 가정하고 어이없게도 그 인생에 끼어들 권리를 주장하는 질문이었다.”(23쪽)

 

리베카 솔닛은 『여자들은 자꾸 같은 질문을 받는다』에서 자신의 경험을 고백한다. 한 여성이 결혼하지 않는 이유를 학대하는 아버지를 둔 탓으로 단정하는 저 장면은, 한국사회의 장대한 폭력에 관한 서사를 한 여성의 트라우마로 간단히 환원해버리는 목소리와 겹친다.

 

‘남자도 돈 버느라 힘들다.’ ‘남자도 설거지 한다.’ ‘남자는 여자를 위해 목숨도 던질 수 있다.’ 여성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구구절절한 말하기는 (여성이 그렇다는 걸 알았다가 아니라) 남자는 이렇다는 걸 알아달라는 한 줄 요약으로 돌아오곤 한다. 이런 반복적인 상황이 나의 역량이나 경험 부족 탓이 아닐까 자책했으나 솔닛의 사례와 연결되자 보편적 젠더 현상으로 확장된다.

 

“남자들은 감정이입의 범위를 넓혀서 다른 젠더와 자신을 동일시해보라는 요구를 받지 않는다. 백인은 유색인종과는 달리 다른 인종에 동일시해보라는 요구를 받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 지배하는 위치에 있다는 것은 곧 자신만을 볼 뿐 남들은 보지 않는 것이다.”(89쪽)

 

태어나면서부터 여성은 침묵하는 법을 익히고 남성은 감정을 도려내는 법을 배운다. 그렇게 가부장제는 인간 본성을 왜곡시키고 그 하자와 결함을 체화한 젠더 역할 수행을 윤활유 삼아 굴러간다. 말하기를 익히지 못한 여성이 공감을 배우지 못한 남성과 동료시민으로 살아가자니 여기저기서 삐걱거리고 맞추어 살자니 공부가 끝이 없다. 
 
난 강연 중 눈물바람이 세 번째다. 두 번은 말하다가 혼자 울컥했다. 더 울어야 할 것이다. 내 나약함을 혐오하지 않기 위해 목표를 바꾼다. 울지 않고 말하는 게 아니라 울더라도 정확하게 말하는 것. “내 내면에 대한 권한을 스스로 가짐으로써 다가오는 침입자에 맞서서 훌륭한 문지기가 되는 것, 최소한 “왜 그런 걸 묻죠?”라고 재깍 되물을 줄 아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19쪽)


- 채널예스에 실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