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신분석혁명

<꼬마한스와 도라> 외디푸스콤플렉스, 가족관계에서 싹튼 질병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하지 않아도 살다보면 어느 길가에선가 돌부리처럼 걸리는 말,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훌쩍 커버린 한 인간의 문제점을 유아기의 성적 경험으로 집요하게 환원시키는 프로이트의 논리에 막연한 반감을 가졌던 게 사실이다. 성적인 것을 불경스러워하도록 배운 제도교육 영향은 아닐 거다. 혹시 무의식적인 의식화를 감안하더라도 ‘허리하학적’인 것에만 초점을 맞추는 논리자체가 ‘남근주의’ 혹은 ‘가부장제’에 대한 승인이라는 생각을 해왔다. 내가 항상 프로이트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이거였다. “성문제에 크게 관심 없는 사람도 많거든?”

‘쥐인간’ ‘도라’ ‘여자동성애가 되는 심리’를 읽고 난 후, 질문을 바꿔야 한다고 박정수 선생님은 말씀하셨다. ‘프로이트는 왜 매사 성적인 걸로만 보느냐’는 불만에 찬 푸념은, ‘프로이트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보느냐 아니냐’하는 능동적 해석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즉 유아기 때 가족관계 안에서 겪은 애정의 갈등과 연관이 있느냐 없느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프로이트는 모든 걸 ‘성’으로 해석하는 게 아니라 ‘가족관계’로 해석한다.

가족관계는 계급혁명을 꿈꾸던 자들에게 중요한 문제였다. 한 인간에게 삶의 배경으로서 가족관계. 경제적으로 풍요롭고 부모사이가 좋은 집안에서 자란 아이가 탈선할 가능성은 비교적 적다. 콩가루 집안에서 자란 애들은 불량청소년이 되기 쉽다. 이 같은 '물질토대'를 기반으로 한 가족관계 문제는 나의 깊은 관심사이기도 했다. 그런데 프로이트는 '성적욕망'을 토대로 한 가족관계를 탐색한다. 난 지질이 가난한 사람들의 가족관계에 관심이 있었는데, 프로이트는 신경정신과를 찾아갈 정도의 재력과 자기 존재를 해석할 정도의 지력을 가진 인물들이 겪는 가족 관계 내에서 인간의 문제를 파헤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