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복한인터뷰

김대경 교사 - 강남에서 교사로 산다는 것은

 

계절이 네 번 바뀌었습니다. 다양한 제목과 모양의 책이 오십 권 넘게 차곡차곡 쌓였습니다.

위클리수유너머 <선생님책꽂이>에는 창간부터 세 분 선생님이 책이야기를 쓰고 있습니다. 달맞이 박혜숙(아동문학평론가) 풍경지기 박혜숙(국어교사) 김대경(국어교사)입니다. 둘은 이름이 같고 또 둘은 직업이 같습니다. 우연히 짝을 이뤘습니다. 그래서 편집팀에서 가끔 혼선을 빚기도 합니다. ‘이번에 어느 박혜숙 선생님이지?’ ‘저번에 김대경샘 학교 아이들 얘긴가?’ 이럽니다.

이유는 이렇습니다. 나무처럼 글에도 결이 있으니, 세 분에게서 느껴지는 글의 파장이 다른 듯 닮아있는 까닭입니다.

어쩌면 예정된 인연입니다. 그들은 반평생 읽어온 책, 갈망한 삶이 놀랍도록 비슷했습니다. 책과 씨름하며 열심히 산다고 살다가 어느 날 다다른 방황의 지점이 일치하고, 삶에 파고든 권력-장치의 불가능성에 좌절하는 대목이 같습니다. 그러면서도 그들에겐 산삼이나 다름없는 책 몇 권 읽고서 기운차려 희망을 얘기하고 의욕을 부리는 모습이 어찌나 닮았는지요.

달맞이, 풍경지기, 김대경 선생님을 보면서 유명한 그 문구가 떠오르더군요. 가난한 자를 먹여 살리는 것이 성스러운 일이라면, 그들이 왜 가난한지 묻는 것은 혁명이라고요. 마찬가지 아닐까요.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이 고귀한 일이라면, 그들을 왜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묻는 것은 혁명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번 주 위클리수유너머에는 문학소녀가 자라나 책으로 나를 바꾸고 세상을 가꾸는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길 위로 나선 삼인삼색 풍경이 그려지시나요? 정답처럼 주어진 진리의 땅에 머무르지 않겠다는 유목의지가 인생길을 소풍길로 만들어가더군요.

앞으로도 가만히, 그리고 오래 바라봐주세요. <선생님책꽂이>에서 쑥쑥 뻗어나간 가지가, 나지막이 움튼 연둣빛 새싹이 새날 새날을 열어갑니다.

- 57호 편집자의 말 (* 위클리수유너머에서 선생님 세 분 인터뷰한 글입니다)


교실에서 – ‘1,2점 때문에 인생 달라지는데’

어느 해 중간고사 시험기간 때 일이다. 교실에서 아이들이 두꺼운 문제집을 푼다. 학원 숙제란다. 문제집엔 중간고사 해당 단원 전국고등학교기출문제가 빽빽하다. 기함할 노릇이다. 시험범위 교과서 분량은 고작 이삼십 쪽인데 문제집이 책으로 한 권이라니! 내용을 찬찬히 살펴보니 ‘꼬고 또 꼬고’ 문제 질이 낮았다. 아이들에게 힘들지 않느냐고 물었다. “아휴, 선생님 토나 올 것 같아요.”

시험문제는 수업시간에 배운 데서만 내니까 문제집 풀지 않아도 된다고 해도 아이들의 ‘불안’을 잠재우고 ‘습관’을 바꿀 순 없다. 아이들은 초등 때부터 학원을 다닌다. 헌데 정작 성적은 고만고만하다. 상위권 학생은 안달복달이다. 가채점표가 나가면 달려와 묻고 따진다. ‘1, 2점 때문에 내 인생이 달라진다’ 울먹인다. 바늘 끝처럼 예민한 아이들. 바늘 끝 하나 들어갈 틈도 없이 각박한 강남아이들. 사제지간 정은 메마르고 온통 입시에 매몰된 현실에서, 교육은 어떤 의미를 가져야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