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은유칼럼

이렇게 말해도 될까 '불행에 몰두하세요'

“그럼,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어느 날 이메일 말미에 붙어 있는 저 인사말에 눈길이 머물렀다. 관습적으로 사용하는 구문인데 그날따라 아리송했다. 왜 행복해야 되지? 꼭 행복해야 하는 건가? ‘행복해라’는 말은 ‘부자 돼라’는 말보다 덜 속되고 선해 보이지만 도달 확률이 낮다는 점에선 더 잔인한 당부이기도 했다. 아무리 용쓰고 살아도 불행이 속수무책 벌어지는 현실에서 어떻게 행복하라는 건지 의심이 들면서도, 한편으론 내가 안 행복하니까 심통이 나서 삐딱해졌으며 ‘덕담’을 ‘다큐’로 받아들이는 불만분자가 됐는지도 모른다고 스스로 검열했다.


<잘 표현된 불행>은 그즈음 눈에 들어왔다. 나의 책에도 인용했는데, ‘시는 행복 없이 사는 훈련’이란 명제를 발견하고 (행복은 단념하고) 행복 없이 사는 훈련에 임하면서 조석으로 시를 읽던 중 만난 823쪽짜리 황현산의 시 평론집이다.

“아름다운 말로 노래하지 못할 나무나 집이 없는 것처럼, 그렇게 하지 못할 불행도 없다. 불행도 세상에 존재하는 다른 모든 것들과 마찬가지로 선율 높은 박자와 민첩하고 명민한 문장의 시를 얻을 권리가 있다(605쪽).”

이 책을 인식의 베개 삼아, 나는 깊이 있는 독해의 향연을 누리고 덤으로 글쓰기의 목적과 방향도 잡았다. 왜 행복하지 못할까 비탄하는 반성문이나 이런저런 조건이 충족되면 언젠가 행복해지리라는 판타지 장르가 아니라 불행의 편에 서서 면밀히 관찰하고 분석하는 기록물을 썼다. 그런다고 불행의 내용이 바뀌진 않지만 ‘잘 표현된 불행’은 묘한 쾌감을 주었다. 불행에서 오는 인식과 감정의 진수성찬을 발견하자 조금 행복해지는 것도 같았다. 내가 해보니 좋아서, 글쓰기 수업에서 나는 불행 전도사가 되었다.

글쓰기에서 사람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건 마무리다. 이메일 말미에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라고 쓰거나, 일기장 마지막 문장으로 ‘오늘도 참 보람찬 하루였다’라고 하는 것처럼 글쓰기에서도 교훈적인 맺음에 집착한다. 즉, 불행한 채로 끝내는 걸 두려워한다. 불행은 어서 벗어나야 할 상태라는 강박이 있다 보니 그때는 불행했지만 지금은 괜찮다고 서투르게 봉합하는 식이다. 그러나 삶에는 결론이 없는데 글에서 거창한 결론을 내려고 하면 글이 억지스럽게 마련이다.

<잘 표현된 불행>의 그 구절에 밑줄을 긋다

제람도 그런 강박을 가진 학인이었다. 그는 군 복무 중 동성애자라는 이유로 군 정신병원에 갇혔던 경험을 글로 썼다. 워낙 고통스러운 사안이기에 처음부터 쓰기 수월한 건 아니었고, 수차례 시도 끝에 좌절의 밑바닥까지 내려가서 복기하는 작업이 가능했다. 그리고 디자인 유학을 떠났는데 얼마 전 자신의 증언과 경험을 설치미술로 표현한 작업을 마쳤다며 내게 소책자를 건네주었다. 제목은 〈You come in, I come out〉.

이것은 잘 표현된 불행! 어떻게 하면 개인의 증언이 사회의 변화에 기여할 수 있나, 문제의식을 담아낸 결과물에 감격하는 내게 그가 말했다. 불행을 인정하는 순간 무너질 거 같아서 행복을 연기했다고. 불행하면 안 되는 줄 알았는데 불행해도 된다고 말해주니까 자유로워졌고, 불행을 말할 용기가 생겼다고 했다.


그 감사 인사는 애당초 황현산 선생님의 것이다. 그리고 선생은 말했다. “작은 조언도 큰 이론도 자신의 몸으로 영접하지 않은 한 자신의 앎이 되지 않는다(119쪽).” 그러므로 황현산에게서 온 나의 전언을 붙잡은 것은 그의 감응 능력이기도 하다. 이젠 제람의 사례를 들어 말해도 될까. ‘오늘도 행복하세요’ 대신 ‘차분히 불행에 몰두하세요’라고. “내용 없는 희망은 불행을 대신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주 그 불행의 씨앗이 된다(607쪽)”라고요.

'은유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소설 쓰는 어른들  (0) 2018.09.27
무궁화호에서 삶에 밑줄을 그었다  (0) 2018.09.23
글쓰기 강좌에 여성이 몰리는 이유  (0) 2018.09.01
이분법의 유혹  (4) 2018.08.27
은유 읽다 - 나의 두 사람  (1) 2018.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