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람에게 다가오는 사랑의 기회에 관심이 많다. 이제껏 사랑을 몇 번 해봤느냐는 물음을 실없이 던져보기도 한다. 상대는 거의 머뭇거린다. 사랑과 사랑 아닌 것의 기준 설정부터 간단치 않은 거다. 내게 사랑은 나 아닌 것에 ‘빠져듦’ 그리고 ‘달라짐’이다. 우연한 계기로 엮여 서로의 세계를 흡수하면서 안 하던 짓을 하거나 하던 짓을 안 하게 되는 일. 연애가 그랬고 공부가 그랬다. 이전과 다른 삶으로 넘어가는 계기적 사건이 사랑 같다.
영화 〈나의 사랑, 그리스〉에는 내 어설픈 사랑 연구에 맞춤한 세 편의 이야기가 나온다. 각기 다른 세대의 이성애 커플이 등장하는 옴니버스식 구성인데 스토리가 촘촘하고 풍성하다. “우린 모두 각기 다른 얼굴이지만 사랑에 빠졌을 때만은 같은 얼굴이다”라는 극중 대사처럼, 그리스의 경제, 외교, 정치 조건에서 그들이 겪는 곤란은 다르지만 나이와 국적을 불문하고 사랑하는 모습은 닮은꼴이다.
청년 커플은 그리스 여대생과 시리아 이민자 남성이다. 경제 위기에 처한 그리스인들에겐 기근과 전쟁을 피해 흘러든 이방인은 불청객이다. 정치학을 전공하는 여대생은 수업시간 교수가 말하는 난민 문제에 집중하지 못한다. 그녀에게 난민은 토론 과제가 아니라 만져지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민자 남자는 그리스인들 사이에 있을 땐 사회에 불안과 공포를 조성하는 혐오의 대상이지만 그녀와 있을 땐 시리아에서 태어난 순박하고 정의로운 예술가 청년이 된다. 인종이나 계급, 문화의 차이는 차별의 근거가 아니라 사랑의 동력으로 작용한다. 그들은 닥칠지도 모르는 불안에 미리 쪼그라들거나 위험을 계산해 행동하지 않는다. 늘 불안한 눈빛을 보였던 그는 같은 사람인가 싶을 정도로 변한다. 그녀 곁에선 천진한 웃음의 존재로 개화한다.
중년 커플은 파산 위기를 맞는 그리스 회사 직원과 그 회사의 구조조정 책임자로 온 스웨덴 여성의 사랑을 그린다. 하루하루 실적으로 평가 받는 마케팅 업무의 스트레스와 쇼윈도 부부 노릇에 지친 중년 남자는 공황장애 약을 먹으며 간신히 일상을 지탱한다. 왜 그런 약을 먹느냐며 남자의 나약함을 비웃는 그녀. 사랑에 빠지면서 숫자만 보이다가 ‘사람’이 보이기 시작하자 그녀의 냉정하고 빈틈없는 사고 체계에는 교란이 일어난다. 자본주의의 생리인 신속함과 무자비함을 요구하는 본사의 닦달을 못 이기고 업무를 포기한다. 그리고 그가 먹던 알약 로세프트 50mg을 삼킨다. 이제 남의 밥줄 끊는 일은 하지 못하는 사람이 된다.
노년 커플은 그리스인 평범한 주부와 독일에서 이주해온 역사학자 남자다. 사랑이 잉태되는 공간은 마트. 그녀는 절박하다. 장바구니에 토마토 한 상자를 넣었다 뺐다 할 정도로 생활고가 극심하다. 아직도 싱크대 앞에서 ‘이게 내가 원하던 삶인가’ 한숨 쉰다. 이런저런 고민을 그에게 터놓는다. 서툰 영어로 더듬더듬. 마트 밖은 위험하다고 여기는 그녀를 남자는 신화의 세계로 인도한다. 그녀는 그가 선물한 두툼한 신화 원서를 읽고자 돋보기를 쓰고 영어사전을 편다. 혼자 힘으론 불가능한 말하기, 듣기, 읽기의 세계를 그의 꾸준한 도움으로 통과한 그녀는 자신이 목도한 부조리에 항의하는 사람, 눈치 보지 않고 자기 생각을 당당히 표현하는 사람이 된다.
이것이 사랑의 급진성이 아닌가. 나는 영화를 보는 내내 ‘사랑에 빠지기 그것은 곧 혁명’이라고 말하는 책 『사랑의 급진성』을 떠올렸다. 한 사람의 이민자가 혐오의 대상에서 환대의 대상이 되고, 해고하는 사람이 해고하지 못하는 사람이 되고, 공부하지 않던 사람이 공부하는 사람이 된다. “범상한 일상, 새로운 것은 무엇이든 생겨날 수 없게끔 사방에 켜켜이 쌓인 먼지의 단층에 하나의 균열이 생기는 사건”(12쪽)이라는 혁명의 정의대로, 영화 속 주인공들은 사랑이라는 ‘일인분의 혁명’을 완수한다. 한 사람이 바뀌면 세상도 약간 방향을 튼다는 점에서 그것은 역사적 사건이기도 하다.
이 영화에는 또 다른 주인공, 사랑에 무능력한 존재가 나온다. 극우 파시스트 조직에 가담해 유럽 난민에게 무차별한 테러를 자행하는 인물이다. 그는 시대의 불운으로 인한 자기 삶의 실패와 불만족을 이민자 같은 사회적 약자에게 투사하며 혐오의 일그러진 얼굴로 살아간다. 혐오를 뿌리고 혐오를 거두는 악순환의 고리에 갇힌다. 누구나 하루하루 열심히 사는 일상은 비슷할지 모르나 사랑의 있고 없음으로 훗날 다른 얼굴 다른 관계가 만들어진다는 것을 그는 삶으로 보여준다.
그렇다면 어떻게 사랑의 주체로 살아갈 수 있을까. 무엇이 사랑이고 무엇이 사랑 아닌가 하는 물음에 『사랑의 급진성』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위험 제로의 사랑은 사랑이 아니다.”(19쪽) 성적 욕망으로 팽배한 현대사회지만 아이러니하게 사랑에 빠지는 것을 두려워한다며 자기동일성에 안주하는 현대인의 왜소함을 저자는 지적한다. “결과가 어떻든 간에 위험을 무릅쓰는 것, 이 숙명적인 만남으로 인해 일상의 좌표가 변경되리라는 점을 알면서도, 오히려 바로 그런 이유에서 만남을 갈구하는 것”(166쪽)이 사랑이다.
사랑에 빠지는 원인은 세 가지다. “첫째는 보는 것, 둘째는 듣는 것, 셋째는 연인의 후한 마음”(19쪽) 영화 〈나의 사랑, 그리스〉의 세 커플도 각각 낯선 사람에게 눈길을 건네는 사소한 행위로부터 사랑이 시작된다. 거기에 사람이 있다는 것을 보고, 그 사람의 이야기를 듣고, 시간과 정성을 후하게 쏟으며 사랑의 주체가 된다.
“사랑에 빠지지 않는 한 사랑은 없다.”(151쪽) 사랑은 특별한 지식이나 기술이 필요치 않다는 점에서 쉽고, 자기를 내려놓아야 한다는 점에서 어렵다. 그러니 사랑을 얼마나 해보았느냐는 질문은 이렇게 바꿀 수도 있다. 당신은 다른 존재가 되어보았느냐. 왜 사랑이 필요하냐고 묻는다면, 비활성화된 자아의 활성화가 암울한 현실에 숨구멍을 열어주기 때문이라고 답하겠다. 존재의 등이 켜지는 순간 사랑은 속삭인다. “삶을 붙들고 최선을 다해요.”(123쪽)
채널예스 http://ch.yes24.com/Article/View/33388
'은유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유 읽다 - 슬픔만 한 혁명이 어디 있으랴 (0) | 2017.06.12 |
---|---|
은유 읽다 - 남해금산 (4) | 2017.05.29 |
노 키즈 존은 없다 (2) | 2017.05.20 |
시사인 - 끼니와 끼니 사이에 명령과 복종이 있다 (2) | 2017.05.14 |
은유의 다가오는 것들 - 인공자궁을 생각함 (0) | 2017.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