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본론

(5)
기계와대공업- 기계는 노동자의 친구가 될수 있을까 - 기계제 출현은 어떤 의미인가 기계제는 노동자들의 수공업을 토대로 하지 않는다. 수공업이 노동자가 발휘하는 힘과 기교, 민첩성, 정확성에 의존하는 것과 견주어 보자. 기계제에서부터 노동과정이 노동자의 한계를 벗어나서 인간적 한계를 넘어서서 조직되기 시작한 것에 주목해야 한다. 기계제의 출현은 노동수단인 ‘도구’가 ‘기계’로 변신한 사태다. 도구와 기계는 어떻게 다른가. 맑스는 인간과 그것이 맺고 있는 관계를 통해 구분한다. 도구는 매우 인간적인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기계의 등장은 생산자로서의 인간의 죽음에 필적한다. 기계제는 인간 능력얼 하나의 제한성으로 장애물로 인식한다. 생산주체로서 인간의 죽음은, 매뉴팩처와 기계제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사태이다. 맑스는 이렇게 말한다. “매뉴팩처와 수공업에서는 ..
매뉴팩처와 분업 - 노동자의 백치화 불구화 # 노동생산성이 높아질수록 노동자 몸값이 낮아지는 이유 자본론 부제가 '정치경제학비판'이다. 정치경제학은 부에 관한 학문이고. 그래서 자본론을 읽다보면 자본가에게 이 책이 유용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맑스는 자본가가 어떻게 돈을 버는가 아주 집요하게 연구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한다. 자본가가 잉여가치를 늘리는 방법 중에 앞서 살펴본 대로, 단순히 노동일을 연장해서 이익을 얻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자연적 육체적 한계가 있다. 하루가 24시간을 늘릴 수 없고, 안 재우고 일 시킬 수는 없다. 여기서는 큰 이익을 얻지 못한다. 그렇다면 다른 방법은 뭘까. 노동력을 가치대로 지불하지 않고 임금을 싸게 함으로써 잉여노동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런 수법이 비일비재 하지만 론에서는 자본가의 도덕적 비열함을..
자본론 - 노동일을 둘러싼 힘겨루기 # 노동일이란 무엇인가 노동일은 노동자가 하루 중 노동하는 시간이다. 현재는 8시간으로 법제화 되어 있다. 자본주의 초기에는 14-16시간인 경우가 흔한 일이었다. 심할 때는 성인남자 18시간, 10세 미만 아이도 15시가 노동을 해야 했다. 1970년대 대한민국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은 아침 8시 반에 출근해 11시에 퇴근으로 하루 14-15시간 일했다. 야간도 허다했고 한 달에 휴일은 이틀이었다. 자본가에게 시간은 금이다. 초침 지나갈 때마다 잉여가치가 쌓인다. 그래서 노동일에 제약이 없을 때는 한없이 늘어났다. 그렇다면 자본은 하루분의 가치를 주고 구매한 노동력을 얼마 동안 소비할 권리가 있을까. 기본적으로 노동일은 불변량이 아니라 가변량이다. 하지만 한계는 있다. 신이 ..
슬픈 자본론 사실, 자본론 서문 읽고 가슴이 먹먹했다. 당황스러웠다. 다 읽기도 전에, 내용이해도 충분치 못한 책에 슬픔으로 반응하는 이 과도함이 스스로도 납득되지 않았다. 왜 슬프냐고 물어보면 딱히 펼칠 논거도 없다. 막연한 느낌인데, 내 아무리 낭만주의자이지만 어려운 공식 잔뜩 들어있는 자본론 읽으면서 이런 기분이 들줄 몰랐다. “우리는 자본주의적 생산의 발전에 의해서 뿐 아니라 그 발전의 불완전성에 의해서도 고통을 받고 있다.” “한 사회가 비록 자기 발전의 자연법칙을 발견했다 하더라도 자연적인 발전단계들을 뛰어넘을 수도 없으며 법령으로 폐지할 수도 없다. 그러나 그 사회는 그러한 발전의 진통을 단축시키고 경감시킬 수는 있다.” 서문에 나온 저 문장들을 보고 맑스의 따뜻한 감수성에 감동했다. 맑스가 자본주의에 ..
자본주의의 세포 '상품' ‘왜 노동자는 죽도록 일해도 가난한가’ 이것이 맑스의 문제의식이 아니었을까 싶다. 맑스는 1818년생이다. 영국의 수공업자와 노동자들의 기계파괴운동이 1811년에 발생했다. 격동기에 태어난 맑스는, 산업혁명으로 기계를 통한 생산이 비약적으로 증대하던 시대를 통과했다. 공업생산을 통해 ‘부’가 증가하고 ‘신분’중심 사회에서 ‘부’중심의 사회로 변화했다. ‘좋은 신분’ 대신 ‘많은 부’가 사회의 작동원리가 됐다. 부의 획득방법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 정치경제학이 탄생했다. 자본론은 ‘정치경제학비판’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맑스는 이 ‘부의 학문’을 비판하기로 한다. 왜? 부가 생산되는 그 관계로부터 빈곤과 착취가 생산된다는 것을 맑스는 간파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전과 달리 필요한 것은 시장에서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