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신분석혁명

(15)
융- 모성원형의 심리학적 측면 # 원형개념에 대하여 모든 인간활동에는 선험성이 있다. 그것은 정신의 타고난, 전(前)의식이자 무의식이며 개인적인 구조다. 원형들이 전통 언어 이민을 통하여 보편적으로 전파되는 것이 결코 아니라 언제나 어디서나 저절로 다시 생겨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전달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 방식으로도 다시 생겨날 수 있다. 비록 무의식적이지만 활동적인, 즉 생생한 준비 태세, 형식들, 플라톤적인 의미의 이념들이 모든 사람의 정신에 내재하며, 그의 생각과 느낌 그리고 행위를 본능적으로 미리 형성하고 영향을 준다. 원형이 내용이 결정된 무의식적 표상은 아니다. 다만 그 자체로 텅 빈 형식상으로 결정되어 있다. 그 요소는 미리 형식을 만드는 능력으로 즉 선천적으로 주어진 관념 형식의 가능성이다. 유전되는 것은 관념..
융 '나의 생애는 무의식을 실현한 역사다' * 융의 무의식 “나의 생애는 무의식이 그 자신을 실현한 역사이다. 무의식에 있는 모든 것은 사건이 되고 밖의 현상으로 나타나며, 인격 또한 그 무의식적인 여러 조건에 근거하여 발전하고 스스로를 전체로서 체험하게 된다.” 융의 말이다. 융에게 무의식은 중요하다. 무의식은 생의 원천이다. 융은 선함보다 온전함을 추구했다고 한다. 책에서도 ‘대극통합’이란 말이 자주 나온다. 빛과 어둠의 조화로움이라고 해야 하나. 역설통합의 경지를 강조한다. 우리가 성장하면서 사회화된 ‘자아’는 ‘생각하는 자아’이고 ‘만들어진 자아’이지 본연의 자기가 아니다. 이 과정에서 스스로 거부하거나 억압해온 내면이 ‘무의식’이다. 융은 적극적 명상을 통해 그 심연을 들여다볼 수 있다고 한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융에게 있어 심리학과 ..
원형과 무의식 - 융의 기본 개념들 프로이트 세미나에서 새봄맞이 ‘기분전환’을 위해 융의 을 읽었다. 예상대로 기분은 전환했는데 ‘더 좋은 쪽’으로 되었다고는 결코 말할 수 없다. -_- 첫 번째 단원이 무척 난해했기 때문이다. 하필 발제를 맡은 나는 거의 입술을 깨물고 참을 인자를 새기며 책장을 넘겼다. ‘도대체 무슨 말을 하려는 걸까. 아니 대체 동원된 철학자와 연금술사가 몇 명이야...엉엉..’ 종잡기 힘들었다. 역시나 세미나 시간에, 읽을수록 미궁을 헤매게 하는 ‘얄미운 텍스트’였다는데 전원 동의했다. 박정수쌤은 이렇게 진단했다. “융이 70세 무렵에 쓴 글이라 그럴 것이다. 젊었을 때 날카로움이 빠져버리고 세상을 관조하는 상태가 되어 그동안 자기가 공부한 철학, 종교, 심리학을 총 망라해서 쓴 것 같다. 논조 파악이 쉽지 않았다...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개인심리학 살다보면 본의아니게 반대의견에 부딪힌다. 일상적 사건이든 학문적 이론이든 그들을 설득해서 자기의 편으로 생각을 바꿀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 같다. 소통무용론은 아니다. 소모적인 일이란 얘기다.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면 묵묵히 그 길을 가는 것이 최고의 설득방법이다. 나중에는 여러 의견중에 더 큰 진실이 위력을 발휘하면서 절로 자리를 찾는 것 같다. 프로이트의 사례를 봐도 그렇다. 정신분석학은 프로이트 이전에는 세상에 없던 이론이다. 새로운 이론이 정식 학문으로 정착하기까지 비판과 저주가 대단했던 모양이다. 프로이트는 굴하지 않는다. 심지어 새로운 학문에 대한 이러한 일체의 거부 반응을 정신분석학의 ‘저항’ 이론으로 설명한다. 저항은 상담과정에서 환자가 기억의 회상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매우 다..
올댓 신경증 # 신경증. 프로이트는 진료실 문을 열고 들어서는 환자의 사례를 통해 신경증의 특징을 설명한다. 환자는 사람이 많을 줄 알고 병원에 왔는데 대기실이 텅 비었다. 의사에게 실망한다. 어차피 대기실에는 나의 비밀스러운 이야기를 들을 사람이 없기에 진료실 문을 닫지 않는다. 이러한 행동을 프로이트는 권위에 대한 갈구로 읽는다. 신경증 환자들은 매우 활력이 넘치거나 고집이 세고 지적수준이 평균을 넘는 사람들이다. 어떤 사람이 신경증 질환에 걸리는 것은 그의 자아가 리비도를 어떤 형태로든 만족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박탈당하는 경우다. 프로이트는 정상적으로 성생활을 할 경우, 신경증이 발생하지 않는다.(520)고 본다. 신경증의 원인은 세 가지다. 첫째, 우연적 체험에 의한 좌절(외상적) 둘째, 리비도 고착(유전적..
정신분석강의 - 실수와 꿈을 통해 인간의 진실이 드러난다 프로이트는 ‘실수’와 ‘꿈’에 대해 주목했다. 대개 하찮은 것, 무의미한 행위로 흘려버리는 것들에서 한 인간의 진실을 파헤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아무도 주목하지 않은 것에서 단서들을 토대로 자신의 학문적 기틀을 다졌다는 것에 프로이트의 위대함이 있는 게 아닐까. 기존의 통념과 관습에 개의치 않았던 소신과 용기. 인간의 진실에 가 닿기 위해서라면 어떤 것 하나도 소홀히 하지 않았던 그의 진솔한 태도가 ‘정신분석학’을 낳았다고 생각한다. # 실수를 통해 인간의 진실이 드러난다 실수는 ‘단지’ 실수가 아니다. 실수가 그냥 피로하고 방심한 상태에서 주의력을 집중하지 않아서 생기는 무의미한 사건이라고? 그렇지 않다. 우리는 주의력을 높이면 정신능력이 높아지고 주의력을 낮추면 낮아진다고 말할 수 없다. 주의를 기..
정신분석강의 - 진실은 환자의 몸에 있다 는 프로이트 첫 저작이다. 프로이트가 이 책을 썼을 때만 해도 100년 전이니까 정신분석학 개념이 지금처럼 일반화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인지 초반부에 ‘정신분석’이란 학문에 대한 프로이트의 견해가 나오는데 그간 당연시 했던 부분에 대해 새롭게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 말하는 것만 가지고 어떻게 병을 치료하지? 정신분석은 신경증 치료학이다. 정신분석의 주체는 환자 자신이다. 정신분석 치료는 오직 대화를 통해서만 이뤄진다. 환자는 자신의 고통을 말하고 소망과 감정충동을 고백한다. 그런데 말하는 것만 가지고 어떻게 병을 치료할 수 있는가. 프로이트는 “언어란 원래 마술이었고 지금도 마술이다.”라고 말한다. 인간정신은 언어로 표현되고 형성된다. 언어는 한 사람을 행복으로 이끌거나 저주로 내몰 수..
<개념정리> 욕망하는 신체의 정치경제학 # 복합적 신체 노동자들이 자본가의 착취에 대항해 ‘우리가 기계가 아니다’ 라고 외치는데 기계가 맞다. 마르크스의 말처럼, 노동자는 비유가 아니라 실재로 산업기계의 이지적 기관이다. 인간이 어쩌다가 산업기계의 부속이 됐을까. 자본의 욕망(리비도) 때문이다. 자본은 자기 몸집을 불리기 위해 인간을 손으로, 화폐를 혈액으로 삼아 생산물을 낳는 신체다. 자본의 사례에서 보듯이, 욕망하는 신체는 단일체가 아니라 복합체이고 기계처럼 작동한다. 욕망의 흐름 속에는 인간과 기계, 사물과 동물의 구별없이 모두 접속하여 네트워크 형태의 신체를 구성한다. 즉, 하나의 부분-기관이 항상 다른 부분-기관에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리비도적 신체이다. 어떤 욕망의 흐름을 생산하고 어떤 흐름을 절단-채취하는지에 따라 신체는 매번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