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복한인터뷰

성태숙 공부방교사 "자기 이야기 있는 사람으로 자라길"


70~80년대 구로동에 산다는 것. 사춘기 소녀에게 그것은 형벌이었다. 집집마다 방 하나 부엌 하나에 ‘공중변소’를 쓰던 서울의 변방. 오직 생존만을 위해 분투하는 도시빈민들의 집단 서식지. 성공하면 황급히 떠나는 동네. 마치 탈옥을 꿈꾸는 죄수처럼, 소녀는 오직 구로동 떠나는 꿈을 꾸며 자랐고 부모로부터 합법적인 탈출을 위해 간호학과를 택했다. 간호사가 되어 ‘전혜린의 나라’ 독일로 가 돈도 벌고 공부도 할 셈이었다. 오직 떠나기 위해 살아온 곳, 구로동. 구로동 사람이란 꼬리표가 창피함에서 자부심으로 바뀐 것은 운동권대학생이 된 이후다. 노동자들의 투쟁 열기 가득한 구로동은 자랑스러운 역사적 현장이었다.

2003년, 유학을 마치고 돌아왔다. 영국에서 발도로프교육을 공부한 그는 대안학교 교사로 살며 창의적인 일을 하려했다. 하지만 숫기가 없어 어디에도 나 좀 써달라고 이력서 한 장 내밀지 못했다. 그즈음 제안이 왔다. 교사들이 견디지 못하고 떠나는 구로동의 한 공부방을 맡아달라고 했다. 흔쾌히 응했다. 사적인 욕심이 컸다. 두 아이를 학교에 보내긴 싫었고 홈스쿨링을 할 자신은 없었다. 내 아이를 다른 아이들과 함께 키우면 혼자 키우는 것보다는 더 낫겠다고 판단한 것이다. 집에서도 가까웠다. 여러모로 마음 편히 비빌 언덕은 나의 살던 고향 구로동 밖에 없었다. 7년 째 구로동 ‘파랑새나눔터’를 지키는 성태숙 선생의 얘기다.  

공중변소 냄새 나는 추억의 구로동으로  


“처음 왔을 때 엄청났죠. 말이 공부방이지 골목을 막아서 천막 치고 주방으로 쓰고 있었어요. 애들은 시커멓고. 첫날에 5분 정도 앉아 있다가 급한 볼일 있다며 도망치듯 나왔어요.(웃음) 다음 날부터 근무했는데, 제가 아이들에게 처음으로 한 말이 이랬대요. 너희들 정말 안 되겠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