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피노자맑스

시급제, 성과급제의 함정

TV에서 우연히 본 장면이 눈물샘을 자극했다. 제목이 ‘찜질방 부자(父子)’다. 이 엄동설한에 방한칸이 없어 아버지와 열여섯살 아들이 짐 상자를 들고 거리를 배회한다. 이 찜질방에서 쫓겨나면 저 찜질방으로. 그러길 몇 차례. 아버지는 보증금 300만원짜리 방이라도 구하고자 목돈마련을 위해 지방에 간다. 아들 손에 십만 원을 꼭 쥐어 주며 아빠 올 때까지 아껴서 쓰라고 당부한다. 이제 아들은 찜질방에서 눈치 보며 혼자 자고 식당에서 혼자 밥을 먹어야 한다. 아버지를 태운 봉고차가 멀어지는 것을 바라보는 아들의 뒷모습이, 둥지에서 떨어진 작은새처럼 한없이 애처롭다.

KBS 다큐멘터리 ‘동행’이라는 프로그램이다. 딱 그 나이의 아들 키우는 엄마로서 가슴 미어지지 않을 수가 없다. 혹시 누구 후원자라도 나타나지 않았을까 바라는 마음에 홈페이지에 가봤다. 그랬더니 아예 매회 출연자마다 후원 계좌번호가 나와 있다. 아마 인정 많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천국행 마일리지도 쌓을 겸) 많이 도와줄 것이다. 그나마 출연자들은 어느 정도 숨통은 트일 터이니, 세상은 아직도 살만하다고 공영방송은 떠들어대고 싶은 지도 모르겠다. 헌데 이게 어디 개개인 온정의 손길로 해결될 문제인가. 낮에는 애 많이 낳으라고 출산캠페인 엄청 해대고, 밤에는 그 미래의 새싹인 아이들이 얼마나 피폐하게 살아가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공영방송 KBS의 두얼굴이다.

찜질방 부자. 이들은 열심히 사는데도 왜 가난에서 헤어나지 못하는가. 아버지는 막노동꾼이다. 프로그램 중간에 공사판에서 일하고 일당7만원을 받는 장면이 나온다. 일당 7만원으로만 보면 적은 돈은 아니다. 문제는 한 달 내내 안정적인 일자리가 확보가 어렵고, 있어도 육체적인 한계로 연이어 일하기 힘들다는 데 있다. 늙으면 점점 더하다. 웬만해선 뜨내기 생활을 청산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어디 일용직뿐이겠는가. 서울에 가로등 간격으로 들어선 편의점에서 일하는 알바생들. 시급 몇 푼, 최저생계비도 안 되는 돈 받아서 고시원 전전하면서 사는 가엾은 아이들도 수도 없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