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은유칼럼

작가의 연봉은 얼마일까

한번은 강연장 포스트잇에 이런 질문이 쓰여 있었다. ‘연봉이 얼마예요’. 그걸 읽고 다 같이 웃었다. 연봉 있는 작가라니! 참신한 오해다. 하긴 100년 전 버지니아 울프는 여성이 글을 쓰려면 자기만의 방과 연간 500파운드의 돈이 필요하다며, 희망 연봉을 제시했다. 여러모로 앞서갔다. 지금 시대엔 직업을 이해하거나 평가하는 기준이 돈이다. 연봉이 높으면 좋은 직업, 낮으면 안 좋은 직업. 그 기준으로 작가는 연봉 책정이 불가능한 이상한 직업이다.

일부 소설가나 시인은 대학교수, 편집자 같은 직업을 겸한다. 최승자 시인은 그 훌륭한 작품을 쓰고도 기초생활수급자로 지냈다. 전업 작가는 고정 수입이 없다. 주된 활동이 책 펴내는 일이고 저자 인세는 대개 정가의 10%다. 만삼천원짜리 한권 팔리면 저자한테 천삼백원이 돌아온다.(이 얘길 하면 다 놀란다) 어떤 책을 내도 십만부 판매가 ‘무조건’ 보장되는 국내 저자는 한 손에 꼽을 정도다.

대개의 책은 초판 나가기도 힘든 상황이라서 일이만부 정도 팔리면 성공작으로 본다. 내 책은 2~3년간 누적으로 그 정도 팔렸다. 연봉으로 환산하면 일년에 오천부가 팔려도 천만원이 채 안 된다. 개인마다 다르지만 책 한권 쓰는 데 최소 6개월은 걸린다. 작업 기간 길고, 판매 불확실하고, 후불로 지급되는 인세만 믿고 있다간 굶기 십상이다.

작가들이 강의를 나가는 이유다. 나도 일감 걱정을 벗어난 건 근래인데, 책 관련 강연으로 생계의 틈을 메운다. 내밀한 대화를 삶의 쾌락으로 여기는지라 ‘혼자 떠드는 느낌’이 드는 대규모 강연이 아니라면 즐거이 임하는 편이다. 그런데 말하기와 글쓰기는 반대의 에너지가 든다. 글은 자기 생각을 의심하는 일이고, 말은 자기 확신을 전하는 일이다. 그게 가끔 혼란스럽다. 그걸 기질적으로 못하거나 사람들 앞에 나서기 꺼리거나 강연 기회가 없는 작가는 책만 팔아서 밥을 구해야 하는 극한 처지에 몰린다.

올해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체공녀 강주룡>을 감동적으로 봤다. 소설가 박서련이 궁금해 인터뷰를 찾아보니 20대 젊은 작가다. 어렵사리 등단했지만 원고 청탁이 없었단다. 스타벅스 아르바이트, 사무직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며 중장비 자격증까지 알아보다가 이 소설의 기획이 한 단체의 지원사업에 선정돼 창작에 전념할 수 있었다고. 하마터면 나올 수 없었던 소설이라고 생각하니 착잡했다. 젊어서 고생이 성과물로 수렴되지 못하는 작가 지망생들, “엎질러진 것이 가난뿐인 거리에서 일자리를 찾는”(기형도) 작가들은 얼마나 많을까.

시와 소설을 쓰는 순문학 분야는 각종 문학상이나 공모사업 기회라도 있지만 르포르타주를 다루는 논픽션 분야는 더 척박하다. 전업 작가부터 희소하다. 논픽션을 애정하고 섭취하며 작업하는 사람으로서 책임감을 느낀다. 책이 아니라 강연으로, 작가가 글보다 말로 살아야 하는 현실에 ‘어쩔 수 없다’며 젖어들지 말고 ‘어쩌면 좋을지’ 물음이라도 붙들고 있으려 한다.

동네서점 주인장들도 한숨이 깊다. 서점 또한 책만 팔아서는 유지가 불가능한 구조라서 유명 저자를 초대하거나 독서모임을 하는 등 끝없이 이벤트를 기획한다. 근데 작가를 초대해도 사람들이 작가만 보고 갈 뿐 책을 사진 않는다는 거다. 저자는 책 쓰려고 강연하는데 독자는 강연 들었으니 책을 안 산다는 얘기다. 이 무슨 얄궂은 상황인지. 사랑해서 헤어진다는 것만큼이나 아이러니다. 종이책 시대가 저무는 건 알겠는데, 작은 서점이 사라지는 풍경, 일생을 다 걸고 글 쓰는 사람이 소멸하는 세상은 상상하고 싶지 않은 미래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because/866586.html?_fr=mt5&fbclid=IwAR2WOBuMzfaS5QMp7bQ7lJOD7caYTN3plhIn_xxFJ3YJQbK_G57hEwHCL3g#csidx717a83abe665ed780a4fc438ab06a19